kinésithérapeute/thérapie
체외충격파(EWST, Extracorporeal Shockwave Therapy)
2019. 10. 21.충격파? 충격파는 물과 같은 매질을 통해 고전압 폭발이나 증발로 발생하는 고 에너지 음파 전기수력, 전자기, 압전기 등의 원리에 의해서 생성 방사형 및 초점형으로 구분됨 기계적인 힘으로 목표 조직에 에너지를 집중시키는 효과와 조직 치유를 촉진하는 생물학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짐 석회성 건염, 비석회성 건염, 테니스 엘보, 골프 엘보, 슬개건염, 아킬레스 건병증, 족저근막염, 골절의 지연 유합이나 불유합, 대퇴골두의 무혈성 괴사, 당뇨벙에 의한 피부 괴사 등에 치료적인 효과가 훌륭함 초음파의 이상성(biphasic)과 다르게 충격파는 단상성(uniphasic)으로 차이가 있으며 최고 압력은 500bar로 초음파의 0.5 bar와 차이가 있음 충격파의 효과 기계적인 힘으로 목표 조직에 에너지를 집중시켜 ..
Janda Shoulder Abduction Test
2019. 10. 15.Shoulder Abduction Test 어깨세모근, 돌림근띠, 위등세모근, 어깨올림근의 조화를 검사 정상적인 형태 어깨 벌림의 세 요소(위팔어깨관절의 벌림, 어깨뼈 상방회전, 어깨뼈의 올림)가 올바르게 일어남 흔한 임상적인 양상 60도 어깨뼈 벌림 이전에 나타나는 어깨뼈 올림 (어깨뼈 벌림에 사용되는 근육들 사이의 짝힘의 불균형 및 손상, 위등세모근과 어깨올림근의 과활동) 어깨관절 벌림을 위해 반대쪽으로 몸통이 굽힘(돌림근띠 또는 어깨세모근의 약화 및 반대쪽 허리네모근의 단축 또는 과활성 Referenc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Muscle Imbalance, Janda's Approach
Janda Push-Up Test
2019. 10. 15.Push-Up Test 역동적인 어깨뼈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테스트 정상적인 형태 어깨뼈 벌림과 상방회전은 몸통을 일으키는 작용을 함 앞톱니근(serratus anterior), 등세모근의 짝힘 작용은 적합한 어깨뼈 움직임을 제공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함 흔한 임상적인 양상 어깨가 으쓱하는 것은 위쪽 등세모근(upper trapezius), 어깨올림근(levator scapulae)의 우세함을 나타냄 손상된 경우에는 협력근과 같은 근육들에 의존함 상부 교차 증후군과관련된 근 불균형을 검사하기 위해 Push-Up 검사를 시행할 수가 있음 Referenc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Muscle Imbalance, Janda's Approach
Janda Cervical Flexion Test
2019. 10. 15.Cervical Flexion Movement Pattern Test 긴널판근(longus capitus), 긴목근(longus colli), 앞머리곧은근(rectus capitis anterior)와 같은 목 깊은 굽힘근들과 협력근인 목빗근(SCM), 앞목갈비근(scalene)와의 상호작용을 평가하는 것 정상적인 형태 올바른 형태의 움직임은 머리-목뼈의 굽힘이 수반된다 흔한 임상적인 양상 목빗근과 목갈비근이 우세할 경우 초기 움직임에 턱이 전방으로 향하게 됨 앞쪽머리자세를 가진 환자의 경우에는 깊은 목 굽힘근의 약화가 보임 Referenc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Muscle Imbalance, Janda's Approach
Janda Trunk Curl-Up Test
2019. 10. 15.Trunk Curl-Up Test 엉덩허리근과 복부의 상호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함 정상적인 형태 엉덩허리근의 수축없이 상부 몸통의 굽힘과 복부 근육들의 적절한 수축 흔한 임상적인 양상 엉덩관절 굽힘근이 움직임의 주요 요소로 작용할 경우 엉덩관절 굽힘근에 의해 몸통의 굽힘은 최소화되고 골반이 전방 경사가 됨 굽힘이 끝나기 전에 발뒤꿈치의 압박이 줄어든다면 양성이며 배근육보다 엉덩관절 굽힘근이 우세함 Referenc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Muscle Imbalance, Janda's Approach
Janda Hip Abduction Test
2019. 10. 15.Hip Abduction Test 중간 디딤기에서 골반은 엉덩관절 벌림근은 강한 안굽이(모음근) 힘에 대항하며 안정화된다. 엉덩이가 떨어지는 경우나 골반이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벌림근의 활성이 올바르지 않을 수가 있다 정상적인 형태 몸통과 골반이 안정된 상태에서 엉덩관절의 굽힘, 바깥돌림, 안쪽돌림 없이 벌림이 20도 정도 이루어져야 함 흔한 임상적인 양상 넙다리근막긴장근(Tensor Fascia Latae)에 의해 엉덩관절의 벌림이 일어나는 경우 20도의 엉덩관절 벌림 이전에 허리네모근의 수축이 일어나는 경우 (Hip Hike)
Janda Hip Extension Test
2019. 10. 15.Prone Hip Extension Test 엉덩관절의 폄은 디딤기의 끝에서 반대측의 다리가 끌리지 않기 위해서 중요함. (10도) 폄이 올바르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다른 분절에서의 보상이 누적되며 통증이 발생 정상적인 동원 순서 뒤넙다리근(Hamstring) 큰볼기근(Gluteus Maximus) 반대측 척추세움근(Erector Spinae) 동측 척추세움근(Erector Spinae) 흔한 임상적 양상 뒤넙다리근 및 척추세움근의 과활성 큰볼기근의 수축이 일어나지 않거나 지연되는 경우 무릎이 굽혀진 채로 엉덩관절을 폄하는 경우 반대측 위팔뼈 머리가 검사대에서 뜨는 경우 (overflow) 등허리 폄근에서의 과도한 활성은 과도한 전만과 앞골반경사가 나타나는 것
목뼈의 불안정성 검사
2019. 10. 10.목뼈의 불안정성 검사 Upper Cervical Instability Test 목의 통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를 치료할 때는 위쪽 목뼈의 안정성을 검사하는 것이 우선이다. 특히 채찍질 손상, 다운 증후군, 류마티스 관절염 혹은 퇴행성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게 필수적이다. 다음 검사에서 양성으로 나타난다면 치료를 중단하고 정밀 검사를 받고 상황에 맞는 대처가 필요하다. 목뼈에서 불안정성이 존재하면? 입술과 혀의 마비 (혀밑신경의 연결, C2의 신경 앞가지) 척추 동맥과 연관된 경우 (5D's & 3N's, 소뇌로 인한 운동 실조) 척수 징후가 있을 경우 과움직임 및 관절가동검사에서 끝느낌이 빈 느낌인 경우 안구진탕증가 있을 경우 5D's & 3N's Diplopia (double vision) - 복시 Dys..
엉치엉덩관절 검사 Sacroiliac Joint Special Test
2019. 10. 10.Provocation Test 통증 유발 검사 Distraction Test 환자는 바로 누운 자세를 취한다. 치료사는 환자의 ASIS의 양 끝을 뒤-바깥 방향으로 압박을 적용한다. 통증이 다시 생길 경우 양성(+), 없을 시에 음성(-) Compression Test 환자는 옆으로 누운 자세를 취한다. 치료사는 환자의 골반의 iliac crest를 반대쪽 iliac crest를 향해 압박을 가한다 증상이 다시 생길 경우 양성(+), 없을 시에 음성(-) Thigh Thrust Test 환자는 바로 누운 자세를 취한다. 치료사는 환자의 무릎을 90도 굽힘, 약간의 모음으로 만들고 무릎뼈를 베드를 향해 Thrust를 가함 Buttock에 통증이 생길 시에 양성(+), 없을 시에 음성(-) Sacral Th..
무릎관절 전치환술의 재활
2019. 10. 8.무릎관절 전치환술이란? 관절염이나 외상 등에 의해 손상된 관절의 일부분을 제거하고 인공 관절을 삽입하는 수술 관절의 전체를 대치하는 전치환술, 한 부분에서의 손상을 대치하기 위한 부분 치환술도 존재 인공 관절은 무릎의 복잡한 기능들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정상적인 해부학에 가깝게 개발됨 보형물은 거부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야 하며 하중을 견뎌낼 수가 있으며 오랜 기간 유지되어야 함 검사/시술/수술 방법 수술을 진행할 슬관절 측의 피부를 절개합니다. 무릎 관절을 노출하여 손상된 연골과 뼈를 절제합니다. 인공 관절을 적절한 위치에 삽입합니다. 관절의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지 확인한 후 절개한 피부를 봉합합니다. 수술 이후 수술 이후에는 약화된 무릎 관절 주변의 근육(특히 넙다리네갈래근)을 강화시키며 인공관절을..
Convergence/ Divergence Pattern
2019. 7. 18.Convergence Pattern 목이 잠겨있는 느낌 움직임의 제한 편측성의 compression pain 급성기 케이스가 흔함 통증을 피하려는 자세를 취함 유발 검사(spring test) : 손상부 +ive intervertebral movement test : 동측면 downslope 제한 (dorsocaudal) segmental distraction 시에 통증 완화 목 폄, 회전 및 옆굽힘 시에 동측면에 통증 (compression pain) 동측 downslope 제한 기능 개선을 위함 (translatoric technique) - indirect upslope technique - direct downslope technique 통증 완화를 위함 - distraction technique..
근에너지 기법 Muscle Energy Technique
2019. 4. 22.개요 Dr. T.J. Ruddy : 맥관저항(resistive duction) 기법을 기술하고 테크닉을 발전 Dr. Fred L. Mitchell, Sr. : 도수치료 과정에 쳬계적인 병합을 통해 어느 부위나 특정한 관절에 적용할 수 있게 도입 Paul Kimberly D.O. : 골반과 주위 조직이라는 세미나를 개최 근에너지 기법? Muscle Energy Technique? 도수치료의 한 과정 정확히 조절된 방향으로 환자의 수의적 근수축을 유도 다양한 강도를 가지고, 치료의 차별적 대항 힘을 적용 근에너지 과정은 광범위하게 적용, 환자의 선택적인 힘을 적용시키는 능동기법으로 분류 활동 힘은 내재적 힘으로 분류되며 환자는 적용량을 잘 조절하여야 하는 책임이 있다 주로 치료에 이용되는 목적 짧아진 근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