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ellofemoral Joint 무릎넙다리관절
- 무릎뼈의 관절면과 넙다리뼈의 융기사이(도르래) 고랑 사이에 있는 경계면
- Quadriceps Femoris, 관절면들의 적합성, 그리고 지지띠섬유들에 의한 수동제한으로 국소적인 안정성
- 무릎넙다리관절의 비정상적인 운동형상학과 불안정성은 매우 흔하며 만성적인 앞쪽 통증과 관절 퇴행에 영향
- 넙다리뼈에 대한 정강뼈의 움직임
무릎뼈는 고정된 넙다리뼈의 융기사이고랑에 대해 미끄러짐 - 정강뼈에 대한 넙다리뼈의 움직임
넙다리뼈의 융기사이고랑은 고정된 무릎뼈에 대해 미끄러짐 - 주로 무릎힘줄을 통해 정강뼈와의 연결을 유지
무릎넙다리관절의 운동형상학
넙다리뼈에 대한 무릎뼈 접촉의 경로와 영역
- 135도 굽힘, 무릎뼈의 위극(superior pole)이 넙다리뼈와 접촉하고 있다
- 거의 완전히 굽혔을 때, 무릎뼈는 융기사이고랑의 밑에 놓이게 되어, 넙다리뼈의 융기사이패임을 메움
- 무릎뼈의 가쪽관절면의 가쪽 테두리와 자투리 관절면은 넙다리뼈와 관절 접촉을 공유
- 90도 굽힘에서 60도 굽힘에서 무릎뼈는 대게 넙다리뼈의 융기사이고랑 내에 맞물림(최대 접촉기)
- 20도 굽힘에서 30도 굽힘 무릎뼈의 일차적 접촉지점은 아래극으로 이동
- Quadriceps Femoris의 활성이 없으면 넙다리뼈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가 있음
- 무릎힘줄의 긴 축(long axis)에 대한 네갈래근의 전반적인 가쪽 힘선에 근거 (무릎뼈의 가쪽탈구)
Accessory Patellar Kinematics 부가적인 무릎뼈의 운동형상학
- 기울임(tilt, 거의 수직축에 대한 거의 수평면에서의 돌림운동)
- 스핀(spin, 앞-뒤축에 대한 이마면에서의 돌림운동)
- 안쪽 및 가쪽이동(shift, 병진운동)
- 무릎의 굽힘과 폄 동안 일어나는 안쪽 및 가쪽이동
- 통증있는 집단군에 대하여 가쪽 이동의 움직임 양이 큼(Macintyre, et al)
Reference
- Brunnstrom's Clinical Kinesiology
- Clinical Kinesiology and Anatomy by Lippert, Lynn S.
-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By Donald A. Neuma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