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tomie
다리뇌(Pons)의 역할
다리뇌(Pons)의 역할
2023.06.18다리뇌에 있는 핵 얼굴신경핵 갓돌림신경핵 삼차신경핵 속귀신경핵 위침분비핵 안뜰신경핵 달팽이신경핵 다리뇌를 지나는 신경로 안쪽 섬유띠(여러 감각을 전달하는 역할) 안쪽세로다발(머리의 평형, 눈과 머리의 협응 운동) 가쪽섬유띠(청각에 관여) 겉질척수로(미세운동 등 전반적인 수의적인 운동에 관여) 피질소뇌로(대뇌정보를 소뇌로 전달) 등 뇌는 복잡한 신경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영역이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전달하고 처리한다. 다리뇌는 뇌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며, 뇌신경과 신경계의 기능적인 연결성과 조절을 돕는다. 다리뇌는 뇌의 신경계 전반에 걸쳐 신호 전달과 연결을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 중에서도 주요한 역할 중 하나는 뇌신경과 척수신경계 간의 연결을 중재하는 것이다. 다리뇌는 신경신호를..
기능선, Functional Line
기능선, Functional Line
2020.12.31몸통 표면을 가로질러 반대쪽 골반과 하지까지 상지선을 확장하며 다른 선처럼 서 있는 자세 조절에 거의 관여하지 않기에 기능선이라고 부른다. 주로 운동하는 동안이나 한쪽 사지 복합체가 안정화되거나 반대균형(counterbalance)을 이루거나 또는 반대쪽 보상에 의해 힘을 받는 다른 활동이 일어나는 동안 그 역할을 수행한다. 창던지기 또는 야구공 투구에서 선수가 오른손으로 물건을 던질 때 부가속도를 더하기 위해 왼쪽 다리와 골반을 통해 힘을 싣는 경우를 들 수가 있다. 자세 기능 Postural Function 편하게 서 있는 자세를 제외한 위치에서 강한 자세 안정 기능을 가짐 많은 요가 자세 또는 몸통에 상부 견갑대를 안정화시킬 필요가 있는 자세에서, 긴장을 아래로 전달하거나 상지에 대한 지지 기초를 ..
목뼈 부위의 이상적인 정렬
목뼈 부위의 이상적인 정렬
2020.12.30목 부위의 이상적인 정렬은 최소한의 근육 힘으로 머리를 유지하는 것 정상적인 정렬은 약간 펴진 상태에서 완만한 앞굽음을 가지고 있다. 목뼈 원판(disc)가 피할 수가 없는 노화 및 퇴행성 변화로 앞굽음이 감소하고 앞쪽 전이가 증가 앞쪽 머리 자세 하부 목 부위의 앞쪽 전이와 목 부위의 젖힘, 등부위의 척추뒤굽음증의 특징을 가짐 목뼈 폄근 및 깊은 목 굽힘근의 신장과 함께 중력에 대해 균형을 맞추기 위해 목뼈의 폄근의 활동이 증가됨 근육의 적응들로 척추관절에 작용하는 압박력의 증가가 나타나고, 목덜미인대에서 변화가 나타나고 목뼈를 안정시키고 움직이기 위해 위등세모근의 활동이 요구됨 앞쪽 머리 자세를 가진 경우 만성 긴장성 두통 및 한쪽 편두통 환자가 흔함 뒤통수밑폄근, 위머리빗근, 아래머리빗근, 머리곧은..
궁둥구멍근(이상근, piriformis)와 허리 통증과의 관계
궁둥구멍근(이상근, piriformis)와 허리 통증과의 관계
2020.12.29궁둥구멍근 납작한 피라미드 모양의 근육 엉덩관절이 굽힘된 상태에서 벌림근으로 작용하며 폄된 상태에서 바깥돌림근으로 작용 궁둥신경이 궁둥구멍근의 두꺼운 부분의 아래로 지나가기에 이상이 있을 시에 통증을 유발 장시간 앉아있거나 과도한 운동을 통해 궁둥구멍근을 과사용하거나 반복적인 궁둥구멍근 증후군의 병인론 Jankovic D, Peng P, van Zundert A의 궁둥구멍근 증후군 병인, 진단, 관리 (2008) 엉덩이에 물리적인 충격을 받은 후에 발생하는 반흔조직이 궁둥구멍근 증후군의 중요한 원인이라는 가설 볼기근이나 바깥돌림근의 통증유발점에서 기인하는 근막통증증후군의 일종이라는 가설 근육의 비후 및 과사용에 의한 경축(spasm)이 원인라는 가설 단축으로 인한 영향 궁둥구멍근의 단축으로 인한 증상은 ..
엉덩허리근(장요근, iliopsoas)와 허리 통증과의 관계
엉덩허리근(장요근, iliopsoas)와 허리 통증과의 관계
2020.12.29엉덩허리근 큰허리근, 작은허리근, 엉덩근으로 구성 허리 사이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근육이며 굽힘, 폄, 옆굽힘 등에 관여함(Penning, 2000) 엉덩허리근은 골반과 허리를 서로 연결하여 위치를 정하는데 중요한 역할(Clay & Pounds 2008) 짧아지게 되는 원인 높은 굽의 신발을 신거나 오랫동안 앉아있거나 잘못된 자세로 서있을 경우 골반의 잘못된 자세로 인해 주변 근육의 약화와 함께 짧아지게 됨 일생의 많은 동작들이 장요근에 단단한 띠(taut band)를 만들거나 악화시킬 수가 있으며 오랫동안 앉아있는 것이 흔한 악화 요인(Sauer& Biancalana, 2010) 앉아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장요근이 오랜 시간에 걸쳐 영향을 받으며 적응성 단축(adaptive shortening)이 일어남..
코어, 몸의 중심(Core)
코어, 몸의 중심(Core)
2020.04.09Core는 무엇인가 허리-골반-엉덩이 복합체(Lumbo-Pelvic-Hip Complex), 29개의 근육이 부착되어 있음 신체의 중력중심이 위치하며 코어를 통해 움직임이 시작됨 정상적인 길이-장력 곡선과 짝힘 관계는 LPH 복합체를 적절한 관절운동학적으로 유지시켜준다. 기능적인 움직임을 하는 동안 가속과 감속, 전체적인 운동사슬의 동적인 안정화에 기여함 코어는 기능적인 단위를 통합하여 운동사슬이 협동적으로 힘을 생산하고 힘을 감소시키며 복부의 힘에 대항하여 동적으로 안정화하게 한다. Hodge Model Core 복횡근(Transversus Abdominis) 신체가 움직일 때 신체를 단단히 잡아주는 역할 (팔, 다리를 움직여도 심부에서 가장 먼저 수축) 다열근(Multifidus) 척추기립근 안쪽에 ..
로커모터의 기능
로커모터의 기능
2019.12.23로코모터의 4개의 기능 입각 안정성 : 끊임없는 자세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직립자세의 안정성이 보증된다. 이동 :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충격 완충 : 신체 중량으로부터 발생하는 바닥에의 충격을 완화한다. 에너지 절약 : 기능적 움직임에 의해서 근육의 에너지 소비를 적게 한다. 입각 안정성 직립자세에서 안정성을 얻기 위해 각 분절의 직립자세와 각 관절 주위의 근육활동의 기능적 균형이 필수불가결 분절의 중력중심이 그것을 지지하고 있는 관절의 바로 위에 있을 때 기능적인 안정성을 얻으며 에너지 소비도 억제됨 서있을 때와 걷고 있을 때의 안정성에 대한 신체중량의 영향은 지면 반응력 벡터에 의해서 결정됨 신체 중량에 의한 힘이 바닥에 작용하면, 반대방향으로 같은 크기의 반작용이 일어난다 (Newton's 3rd ..
보행에서의 기능적 단위 "패신저 Passaenger"
보행에서의 기능적 단위 "패신저 Passaenger"
2019.12.20보행 중에 신체의 기능적인 분류 Passaenger(패신저, 승객) : 상반신과 골반 Locomotor(로코모터, 기관차) : 골반과 하반신 정상적인 보행의 기전에서는 패신저의 부하가 최소가 될 수록 효율이 좋음 상반신이나 팔, 머리를 사용하여 각종 활동을 시행할 수가 있어야 함 Perry, 1992 패신저가 로코모터의 위에서 자세를 바로잡으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로코모터가 어느 근육을 어느 정도 작동시켜야 하는 것은 패신저의 자세로 결정되는 것이다. 패신저(Passenger)란? Elfman(1954) 패신저라는 단위를 표현하는 개념으로 HAT(head, arms, trunk)를 제창함 머리와 경부, 체간, 골반 그리고 상지로 구성되어 있음 패신저는 스스로의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유일한 기능..
Role, Classification of Muscles
Role, Classification of Muscles
2019.10.22Janda (1994), Jull and Janda (1987) Bergmark (1989) Richardson (1992) Comerford and Mottram (2001) Phasic Local muscles Stability synergists Local stabilisers Tend to lengthen (길어지기 쉬움) Weak (약함) Uni-articular (단일 관절) Deepest muscle layer that originates and inserts segmentally (분절마다 기시하고 정지하는 깊은 근육) Control and maintain neutral (중립 자세로의 조절 및 유지) Respond to changes in posture and to changes in l..
어깨관절 복합체 근육의 분류 및 기능
어깨관절 복합체 근육의 분류 및 기능
2019.10.17MUSCLES OF THE SHOULDER COMPLEX Scapular pivoters Humeral propellers Humeral positioners Shoulder protectors Trapezius Serratus anterior Levator scapulae Rhomboid major Rhomboid minor Latissimus dorsi Teres major Pectoralis major Pectoralis minor Deltoid, Supraspinatus Rotator cuff (supraspinatus, infraspinatus, teres minor, and subscapularis) Long head of the biceps brachii Scapular Pivoters 등세..
올바른 앉은 자세
올바른 앉은 자세
2019.10.04현대인 대부분은 많은 시간을 앉은 자세에서 소요함 골반의 자세는 척주 전체에 걸친 척추 정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가 있음 구부정한 자세, A 구부정한 자세에서 골반은 비교적 편평한 허리뼈에 대해 뒤기울임을 보임 이 자세에서는 결합조직들과 근육들의 적응성 짧아짐을 유발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원치 않은 자세를 지속시킴 상체의 힘선과 허리뼈 사이의 외적인 모멘트 팔을 증가시켜 척추원반을 포함한 아래쪽 몸통의 굽힘에 저항하는 조직들에 대한 요구를 더 크게 증가시킴 똑바로 앉아 있을 때보다 구부정하게 앉은 자세에서 허리 원반에서의 압박력이 더 크게 증가시킴 건강한 사람에서도 구부정하게 앉으면 증가된 압력으로 속직핼을 약간 뒤쪽으로 변형시킬 수가 있는데 특히 L4-L5, L5-S1 영역에서 나타남 습관적으로 구..
엉치엉덩관절 Sacroiliac Joint
엉치엉덩관절 Sacroiliac Joint
2019.10.04엉치뼈 가장 중요한 기능은 척주의 무게를 골반으로 전달하는 기능 아동기까지 분리되었던 엉치뼈는 성인기가 되며 단일 뼈로 융합됨 분리된 다섯개의 엉치뼈들은 연골막(cartilagenous membrane)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 엉치뼈관(sacral canal)은 말총(cauda equina)을 수용하고 보호하고 있음 골반고리의 구성요소는 엉치뼈, 한쌍의 엉치엉덩관절, 그리고 두덩결합관절이며 고리의 내구력은 주로 양쪽 골반 사이에 쐐기처럼 고정된 엉치뼈의 단단한 적합성에 따라 달라짐 엉치엉덩관절 엉치엉덩관절은 안정성을 위한 구조로 척주, 다리, 그리고 지면 사이의 큰 부하를 전달하는데 효과적으로 쓰임 만성 요통을 가진 사람들의 약 15~30%에서 통증의 근원이라고 믿어짐 손상은 직접적인 낙상, 예기치 않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