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외충격파(EWST, Extracorporeal Shockwave Therapy)
충격파?
- 충격파는 물과 같은 매질을 통해 고전압 폭발이나 증발로 발생하는 고 에너지 음파
- 전기수력, 전자기, 압전기 등의 원리에 의해서 생성
- 방사형 및 초점형으로 구분됨
- 기계적인 힘으로 목표 조직에 에너지를 집중시키는 효과와 조직 치유를 촉진하는 생물학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짐
- 석회성 건염, 비석회성 건염, 테니스 엘보, 골프 엘보, 슬개건염, 아킬레스 건병증, 족저근막염, 골절의 지연 유합이나 불유합, 대퇴골두의 무혈성 괴사, 당뇨벙에 의한 피부 괴사 등에 치료적인 효과가 훌륭함
- 초음파의 이상성(biphasic)과 다르게 충격파는 단상성(uniphasic)으로 차이가 있으며 최고 압력은 500bar로 초음파의 0.5 bar와 차이가 있음
충격파의 효과
- 기계적인 힘으로 목표 조직에 에너지를 집중시켜 치료 효과를 나타냄
- 공동화(cavitation) 현상으로 간접적인 기계적 힘 때문에 조직에 부정적인 효과 또는 손상을 주는 것
체외충격파가 생성되는 원리
1. 방사형 체외충격파
- 압력파(Pressure Wave)를 만드는 방식으로 발사체(Projectile)에서 압축 공기 가속화시킨 후 Applicator에서 피부에 운동 에너지를 전달
- 충격파의 에너지가 퍼져나가기 때문에 한 곳에 집중할 수는 없으나 조직에 전반적으로 전달하기에 근육 질환에 많이 이용됨
2. 초점형 체외충격파
-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전환시켜 충격파를 만든 뒤 반사판을 이용해 특정 부위에 충격파를 집중시키는 방식
- 사람의 몸이 물과 비슷한 음향 임피던스(acoustic impedance)를 갖추고 있어 사람의 몸이 매질이 되어 충격파를 전달하는 원리
- 충격파 에너지가 집중되는 효과가 있지만 통증이 상대적으로 심함
초점형 충격파를 만드는 방법
- 전기수력(eletrohydraulic) : 1세대, 고압의 전기를 이용한 수중 폭발을 일으켜 발생한 충격파를 반사체로 이용하여 하나의 초점에 모이게 하는 장치로 다른 원리에 비해 더 큰 에너지를 내는 장점이 있음
- 전자기(electromagnetic) : 전자기 원리를 이용하여 전류를 코일을 통과시키면서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면서 충격파를 만들어 이를 렌즈를 이용하여 초점을 형성
- 압전기(piezoelectric) : 전류 공급에 따라 부피가 수축과 팽창을 하는 압전 금속(piezoelectric crystals)이 주변의 수중에서 충격파를 발생시킨다. 형성된 충격파가 바로 초점을 형성(selffocus)할 수 있게 압전 금속이 기하학적으로 정렬되어 있다.
체외충격파의 치료 기전과 동물실험
1. 골절 치유
- 뼈에 충격파를 가하면 미세골절을 만들어 혈종을 형성하고 조골세포(osteoblast)의 골형성을 유도하여 골절을 치유하는 것
- 고용량의 체외충격파를 가했을 때 신생골 형성이 대조군에 비해 더 많았으며 뼈도 더 강하게 변했으며 저용량의 체외충격파보다 효과가 더 좋다는 연구를 보았을 때는 뼈에 대한 체외충격파 치료의 효과는 용량과 시간의 의존도가 높다고 생각됨
2. 건-뼈 접점 부위의 건병증(insertional tendinopathy) 에서 조직 치유
- 신생 혈관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혈관내피 산화질소 합성, 혈관내피 성장인자, 증식성 세포핵 항원 등의 혈관 신생 인자 및 치유 인자가 많아짐을 확인
- 혈관 신생이 활발해져 건-뼈 접점 부위에 혈액 공급이 많아져서 조직 치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생각됨
- 과자극 진통(hyperstimulation analgesia)으로 통증 역치를 높여 통증이 조절된다는 이론도 제기됨
체외충격파의 합병증과 금기사항
합병증
- 통증, 어지럼증, 국소 출혈이 있으나 강도를 조절하면 해결됨
-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는 즉시 눕히고 다리를 높여주면 수분 내에 회복됨
- 큰 혈관이나 신경에 직접적으로 충격파가 가해지면 혈관 및 신경의 손상이 생길 수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함
금기증
- 출혈성 질환이 있거나 항혈전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 머리 부위, 소아의 성장판에 사용하는 것은 금기
- 충격파가 폐에 직접 전달되면 폐포(alveoli)가 손상될 수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함
Reference
- Jae-Kwang Yum, M.D., Ph.D. and Sang-Jun Ahn, M.D.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in Musculoskeletal Disorders. J Korean Orthop Assoc 2018; 53: 400-406
- Wang CJ. An overview of shock wave therapy in musculoskeletal disorders. Chang Gung Med J. 2003;26:220-32
- Ogden JA, Toth-Kischkat A, Schultheiss R. Principles of shock wave therapy. Clin Orthop Relat Res. 2001;387:8-17.
- Gerdesmeyer L, Gollwitzer H, Diehl P, Wagner K. Radial extracorporeal shockwave therapy (rESWT) in orthopaedics. J Miner Stoffwechs. 2004;11:36-9.
- Wang CJ, Wang FS, Yang KD, et al. Shock wave therapy induces neovascularization at the tendon-bone junction: a study in rabbits. J Orthop Res. 2003;21:984-9.
- Wang CJ, Yang KD, Wang FS, Chen HH, Wang JW. Shock wave therapy for calcific tendinitis of the shoulder: a prospective clinical study with two-year follow-up. Am J Sports Med. 2003;31:425-30
- Wang CJ, Yang KD, Wang FS, Hsu CC, Chen HH. Shockwave treatment shows dose-dependent enhancement of bone mass and bone strength after fracture of the femur. Bone. 2004;34:225-30.
- Verstraelen FU, In den Kleef NJ, Jansen L, Morrenhof JW. High-energy versus low-energy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for calcifying tendinitis of the shoulder: which is superior? a meta-analysis. Clin Orthop Relat Res. 2014;472: 2816-25.
- Krasny C, Enenkel M, Aigner N, Wlk M, Landsiedl F. Ultrasound-guided needling combined with shock-wave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calcifying tendonitis of the shoulder. J
Bone Joint Surg Br. 2005;87:5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