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RIO
Patellofemoral Joint 무릎넙다리관절
Patellofemoral Joint 무릎넙다리관절
2019.04.16무릎뼈의 관절면과 넙다리뼈의 융기사이(도르래) 고랑 사이에 있는 경계면 Quadriceps Femoris, 관절면들의 적합성, 그리고 지지띠섬유들에 의한 수동제한으로 국소적인 안정성 무릎넙다리관절의 비정상적인 운동형상학과 불안정성은 매우 흔하며 만성적인 앞쪽 통증과 관절 퇴행에 영향 넙다리뼈에 대한 정강뼈의 움직임 무릎뼈는 고정된 넙다리뼈의 융기사이고랑에 대해 미끄러짐 정강뼈에 대한 넙다리뼈의 움직임 넙다리뼈의 융기사이고랑은 고정된 무릎뼈에 대해 미끄러짐 주로 무릎힘줄을 통해 정강뼈와의 연결을 유지 무릎넙다리관절의 운동형상학 넙다리뼈에 대한 무릎뼈 접촉의 경로와 영역 135도 굽힘, 무릎뼈의 위극(superior pole)이 넙다리뼈와 접촉하고 있다 거의 완전히 굽혔을 때, 무릎뼈는 융기사이고랑의 밑에 ..
Tibiofemoral Joint 정강넙다리 관절
Tibiofemoral Joint 정강넙다리 관절
2019.04.11관절의 안정성은 견고한 뼈의 적합성에 의해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근육들, 인대들, 관절주머니, 반달연골들, 그리고 체중에 의해 제공된 힘들과 물리적 억제에 의해 제공된다. Meniscus, 반달연골 해부학적 고려사항 초승달 모양의 섬유연골성 구조 편평한 정강뼈의 관절면들을 얕게 파인 부분으로 전환 Quadriceps Femoris, Semimembranosus는 양쪽 meniscus에 부착되고, Popliteus는 가쪽 Meniscus에 부착됨 Peripheral border는 혈액공급이 풍부하지만 internal border에는 대게 혈관이 없어 혈액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음 안쪽반달연골 계란형의 모양, 안쪽곁인대와 인접관절주머니의 깊은 면에 부착하는 바깥모서리를 가짐 가쪽반달연골 원형의 모양, 가쪽곁인대..
Subtalar joint, 목말밑관절
Subtalar joint, 목말밑관절
2019.03.12Subtalar joint Open kinetic chain(열린사슬운동) 혹은 Closed kinetic chain(닫힌사슬운동)에서 작지만 중요한 움직임이다. Walking 및 Running 중 Weight acceptance 시기에 arch가 충격을 견딜 수가 있게끔 한다. Posterior articulation(talocalcaneal joint, 뒤관절)은 전체 면적의 약 70%를 차지한다. 이 관절은 주변의 ligament와 체중 그리고 근육의 활성을 통해 단단하게 유지된다. Concave는 talus이고 convex는 calcaneus이다. Anterior articulation과 Middle articulation의 joint surface는 거의 flat하다. 움직임의 개선을 위해 jo..
Talocrural joint
Talocrural joint
2019.03.11Talocrural Joint Proximal의 concave 형태는 tibia와 fibula를 연결하는 connective tissue에 의해 제공된다. 이것은 발목에 자연스러운 안정성을 제공하는 중요한 원천이 된다. 목말뼈와 정강뼈에 압력의 90 ~ 95%를 받으며 남은 5 ~ 10%는 목말뼈와 종아리뼈에서 부하를 받는다. 관절연골에 의해 덮여있어 손상성 스트레스로부터 연골밑뼈를 보호한다. Collateral ligament에 의해 안정성을 유지한다. Deltoid ligament는 관절의 eversion의 끝범위에서 움직임을 제한하며 ankle의 valgus tilting을 제한한다. sprain은 잘 일어나지 않는다. Lateral collateral ligament는 inversion을 제한하며..
신경학적 관점의 근골격계 통증 주기
신경학적 관점의 근골격계 통증 주기
2018.05.10통증의 정의 국제통증학회(ISAP: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의 정의에 의하면 통증이란 "실질적인 또는 잠재적인 조직 손상이나 이러한 손상에 관련하여 표 현되는 감각적이고 정서적인 불유쾌한 경험"으로 정의된다. 과거 통증에 대한 관점으로는 어떠한 질병으로 인해 발생되고 질병이 치유되면 동시에 사라지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최근 통증의 병태생리적인 부분들이 연구되고 새롭게 밝혀지며 관점이 바뀌게 된다. 조직의 손상으로 인해 통증이 발생되고 통증의 유발은 조직의 허혈을 초래하여 허혈성 변화로 인해 통증 유발물질이 분비되어 통증을 더욱 조장하게 되는 악순환이 생겨 통증이 가중된다. 통증의 악순환 근육 불균형 만성 통증은 대항근의 긴장이 높아지는 동안..
긴장성계와 위상성계 Tonic and Phasic System
긴장성계와 위상성계 Tonic and Phasic System
2018.05.08Tonic System / Phasic System 긴장성계는 막 태어난 아이가 태내자세를 유지하는 것처럼 신체에서 가장 처음으로 사용되며, 위상성계는 아이가 시각의 위치를 바꾸기 위해 머리를 드는 방법을 배움과 동시에 활동을 시작한다. 정상적인 움직임 패턴(Movement Pattern)의 발달은 긴장-위상성계의 반사적 동시 활성화(reflexive coactivation)를 이용한다. 이러한 반사들은 영아가 정상적 발달 과정을 거치는 동안 사라지지만, 뇌졸중(stroke) 또는 뇌성마비 같은 상위 운동 신경 뉴런(upper motor neuron)의 병변이 있을 때, 나타나지 않아야 하는 패턴들이 다시 나타나거나 또는 우세하게 나타난다. 만성 근골격계 통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근육 불균형 패턴은 ..